슬로베니아와 영어 슬로베니아 사람들은 슬로베니아어를 쓴다. 그런데 슬로베니아 사람들은 영어를 매우 잘한다. 처음 슬로베니아를 가기 전에 슬로베니아 사람들이 영어를 잘한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는 반신반의했지만 슬로베니아는 영어로도 충분히 생활이 가능한 나라였다. 수업에 가도 교수님들과 친구들은 다 영어를 할 줄 알았고, 수업도 영어로 들었다. 나는 영어를 B2 수준까지 올리고 싶다면 가성비 있게 슬로베니아에서 유학이나 연수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어느날 친구들에게 왜 이렇게 영어를 잘하는지 물었다. 영어를 잘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했다. 일상의 다양한 부분에서 슬로베니아어 번역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애플은 기기에서 슬로베니아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모두가 영어로 애..
한국인은 참 눈치를 많이 본다. 스페인 사람인 룸메들은 내가 '이래도 괜찮니?', '저래도 되니?'라고 물어볼 때마다 나에게 매번 Don't worry라는 말을 남겼다. 어쩌면 내가 근심과 걱정, 고민이 많은 사람일지도 모르겠다. 유럽에서 살 때는 뜻대로 되지 않아도 되고, 열심히 안 살아도 된다는 걸 많은 친구들이 보여주곤 했다. 아시아인에 대한 시선 유럽 친구들은 Asian들이 대체로 근면성실해서 일을 정말 많이 한다고 생각했다. 끝내주게 성실해서 어떤 회사에서든 똑똑해서 환영하는 편이라고 했다.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슬로베니아에 있던 방글라데시에서 온 팟타이집 사장님도 하루 14시간씩 일하셨다. 만나는 친구들마다 아시아 사람들은 다들 수학을 잘하고, 일만 하는 똑똑한 사람들이라는 편견이 있었..
'넌 왜 슬로베니아를 선택했니?'는 슬로베니아에서 만난 새로운 친구들이 자주 묻던 질문이었다. 그럼 나는 슬로베니아가 나에게 유일한 선택지였으며 인생에서 한번 쯤 오고 싶었던 유일한 나라였다고 답했다. 마치 아름다운 운명처럼 말이다.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 교환학생을 다녀온 친구들이 있었다. 해외 살이가 궁금하기도 했어도 나는 부모님께 반 년의 경험을 위해 몇 천만원의 돈을 여쭤보기가 미안한 맏딸이었다. 유럽의 교환학생은 영어로 된 전공 수업이 없어서 공부를 안하고 놀고 오기만 한다는 먹지 못하는 신 포도 같은 이야기를 믿으며 아쉬움을 잊어버리기도 했다. 지금은 대학교 때 한번 갔다 와볼 걸 싶어서 아쉽긴 하다. 그랬다면 20대를 덜 무리하지 않고 사는 지혜가 있었을 것 같다. 그런 의미로 이번 교환학생..